Spring Boot 기초

Spring Boot는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스프링(Spring) 프레임워크의 하위 프로젝트입니다. 설정의 복잡성을 줄여 개발 생산성을 높입니다.

개요

Spring Boot는 기존 Spring 프레임워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, XML 기반의 복잡한 설정 파일을 최소화하고, 내장형 서버(Embedded Tomcat 등)를 포함하여 별도의 웹 서버 설치 없이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. 이를 통해 개발자가 빠르게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참고

Spring Boot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(Standalone)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매우 적합합니다.

핵심 개념

Spring Boot의 개발 편의성을 높이는 주요 개념들입니다:

개념 설명
자동 설정(Auto-configuration) 클래스 경로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. 개발자가 일일이 빈(Bean)을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
내장형 서버(Embedded Server)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할 필요 없이, 내장된 서버(Tomcat, Jetty 등)를 사용하여 JAR 파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
스타터 의존성(Starter Dependencies) 특정 기능(예: 웹, JPA)에 필요한 모든 의존성을 한 번에 관리해 주는 편리한 묶음입니다.

주요 기능

Spring Boot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Spring Initializr: 웹 기반의 프로젝트 생성 도구로, 의존성을 선택하여 쉽게 프로젝트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  • Actuator: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. (헬스 체크, 지표 등)
  • 외부 설정: YAML 파일이나 환경 변수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사용 예제

간단한 "Hello, World!" REST API를 만드는 예제입니다.

Java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Spring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oot.autoconfigure.SpringBootApplica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

@SpringBootApplication
public class DemoApplication {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SpringApplication.run(DemoApplication.class, args);
    }

}

@RestController
class HelloController {
    @GetMapping("/")
    public String hello() {
        return "Hello, Spring Boot!";
    }
}

주의사항 및 팁

  • Spring Boot는 Java를 기반으로 하므로, Java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.
  • pom.xml (Maven) 또는 build.gradle (Gradle) 파일을 통해 의존성을 관리합니다.
  •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습니다.
주의

Spring Boot는 개발 편의성을 높여주지만,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 Spring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(DI, IoC 컨테이너 등)을 함께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