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기초
리눅스는 오픈소스 운영체제(OS)의 한 종류입니다. 서버, 임베디드 시스템, 슈퍼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, 안정성과 보안, 뛰어난 성능이 특징입니다.
개요
리눅스는 리누스 토르발스(Linus Torvalds)가 개발한 커널(Kernel)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입니다. 다양한 배포판(Distribution)이 존재하며, 대표적으로 Ubuntu, CentOS, Debian, Fedora 등이 있습니다.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에 맞는 배포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참고
안드로이드 OS도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. 이는 리눅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.
핵심 개념
리눅스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몇 가지 핵심 개념입니다:
개념 | 설명 |
---|---|
커널(Kernel) |
운영체제의 핵심으로,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. |
셸(Shell) |
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Bash, Zsh 등이 있습니다. |
파일 시스템 |
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, 모든 것이 파일로 취급됩니다. |
터미널(Terminal) |
셸에 명령어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문자 기반의 인터페이스입니다. |
주요 명령어
리눅스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수 명령어들입니다.
CLI
ls #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 cd /home # /home 디렉토리로 이동 pwd #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출력 mkdir test # 'test'라는 이름의 디렉토리 생성 rm file.txt # 'file.txt' 파일 삭제 cp file1 file2 # 'file1' 파일을 'file2'로 복사 mv file1 file2 # 'file1' 파일을 'file2'로 이동/이름 변경 cat file.txt # 'file.txt' 파일 내용 출력
주요 디렉토리 구조
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, 모든 디렉토리는 루트 디렉토리(/
) 아래에 있습니다.
디렉토리 | 설명 |
---|---|
/bin |
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필수 실행 파일이 저장됩니다. |
/etc |
시스템 전반에 걸친 설정 파일이 저장됩니다. |
/home |
사용자별 홈 디렉토리가 생성되는 곳입니다. |
/var |
시스템 운영 중에 내용이 자주 변경되는 파일(로그, 캐시 등)이 저장됩니다. |
/usr |
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관련 데이터가 저장됩니다. |
주의사항 및 팁
- 리눅스는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
File.txt
와file.txt
는 다른 파일로 인식됩니다. man
명령어를 사용하면 명령어의 사용법과 옵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예:man ls
)sudo
명령어를 사용하여 관리자(root)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
주의
터미널에서 rm -rf /
와 같이 시스템의 핵심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는 매우 위험합니다.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항상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.